Showing posts with label Movie.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Movie. Show all posts

5/12/2016

The Ghost Army

새로운 fact를 알게 되거나(남들은 뻔히 다 알고 있을지도 모를) 혹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듣게되면 여기에 올리고 '횡설수설'정도로 분류해 놓곤 하는데 그 중 하나가 될지 싶다.

세계2차대전 중에 유럽에서 독일군과 대항해 싸우던 미육군에서 Ghost Army라는 부대를 운용했었다는 건데  미국방부는 이 부대의 활동이 15,000 에서 35,000명 정도되는 미군의 생명을 살렸을거라 추산하고 있다. 

가짜 탱크
부대원은 일괄 미북동부의 뉴욕이나 보스턴 소재의 미술학교출신 미술가, 브로드웨이의 극장무대장치 전문가, 무대사운드전문가, 보조역 연기자, 건축가, 광고회사종사자(좀 의외인데 가만 생각해 보면 고개가 끄덕여지는 대목. 일반 대중에게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알리는데 능한 사람들이라...) 등이었고, 이들을 비밀리에 차출해 1,100명으로 구성된 사단을 만들어 미국내에서 훈련시키고 풍선처럼 부풀리면 탱크나 트럭, 야포나 심지어 비행기등이 되는 소품을 주어 유럽의 작전지역으로 보냈다고 한다. 

허술한 위장막
도착한 그들은 야밤을 이용해 풍선으로 된 탱크와 트럭등으로 완벽한 부대진지를 구축하고 위장막을 조금 허술히 해서 적의 첩보기가 사진을 찍으면 드러나게 하는 동시에 엄청나게 큰 스피커를 이용해 밤새 부대가 이동해 들어오는 것 처럼 탱크와 차량소리를 내 적의 귀에 들리게 했고 실제 무전교신을 부지런히 해 적이 감청을 통해 부대가 실제로 진주해 들어오는 것 처럼 듣게 했단다. 스피커를 통해 내어 보내는 차량 이동소리 사이사이에 부하들을 향해 "야, 이 XX들아. 빨리 담배불 끄지못해!" 라고 소리 지르는 상사의 목소리같은 음향효과도 간간히 넣었다고. 

가짜 비행기. 불도저로 가짜활주로도
조성했었고. 그래서 다른 미군부대
정찰기가 착륙하는 헤프닝도 있었다고.
그것 뿐만이 아니고 포장이 씌워진 실제 트럭 몇대에 병사를 뒷 부분에만 두명씩 달랑 실어 트럭이 병사들로 꽉 찬듯 보이게 하고 하루종일 진지를 들락거리며 먼지를 내게 해서 적의 스파이로 하여금 실제로 병력이 이동하고 있다는 걸 보게 했고, 밤에는 모두 특정 부대의 견장을 차고 술집등에 가서 노는 것처럼 하면서 귀를 쫑긋세우고 있는 스파이들에게 거짓 첩보를 흘리는 등 철저하게 적을 속이는 부대였다. 

이 유령부대 건너편에 마주 진치고 있던 독일진지에 주둔하고 있다가 나중에 포로로 잡힌 한 독일장교는 이 유령사단의 규모가 38,000명 정도일거라 추산했었다고 고백했을 정도. 

가짜 상륙정
팻튼장군의 전차군단이 롬멜장군이 이끄는 독일전차군단과 팽팽하게 마주한 전선에선 팻튼쪽 전선에 부대가 모자라 약한 부분이 있었는데 독일군이 알아차리고 뚫고 들어오기만 하면 전세가 완전히 기울어질 판이었다고. 이에 패튼이 유령사단을 급히 불러들여 그 부분을 커버하게 하는 바람에 승리를 거뒀다고 하고, 라인강을 건너 독일군최후의 보루를 뚫는 과정에서도 이 부대가 적군앞에서 '무시무시한' 병력을 뽐내는 바람에 그곳에 모든 병력을 결집시켰던 독일군. 그 결과 독일군의 옆구리로 연합군이 사상자 거의 없이 걸어들어가서 항복을 받아냈다는 이야기도 보였다.

가짜 대포
스피커
세계 2차대전이라면 끝난지 반백년도 넘은 전쟁. 그 전쟁에서 있었던 이런 사실을 전쟁사라고 하면 꽤나 관심을 두고 읽곤 하는 내가 왜 이제야 알게됐을까 보니 나름 이유가 있었다.

2차대전이 끝난 후 이 부대를 정부에서 포상하고 알렸어야 하는데 바로 소련과의 냉전이 시작되었고, 소련과의 전시상황이 되면 이 부대를 운용해야 할 가능성도 있었기에 40년간 이 모든 내용을 참가했던 부대원들의 배우자들에게 조차 말할수 없는 일급비밀에 붙이기로 했던 것. 그런 이유로 비밀이 해제되던 1996년에야 그 부대원들이 가족들에게 자신들이 2차대전시 어떤 임무를 수행했었나를 말해줄 수 있었고 미정부도 그들을 치하해 줄 수 있었단다. 그러니 이 부대에 관해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었던 것은 당연.

공중에서 본 가짜진지. 트럭이나 탱크의 바퀴자국도 인위적으로 만든 것.
다만 트럭 한두대 정도는 진짜를 배치하곤 했단다.
써놓고 보니 정말 횡설수설 맞네. ^^ 특히 이런 이야기에 관심없는 사람들에겐...

아, 이 부대에 속한 많은 사람들이 후일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가, 디자이너, 건축가들이 되었다는데 그 중 한 사람이 지금은 죽었지만 그 제품들은 지금도 잘 나가고 있는 패션모굴 Bill Blass. 

가짜탱크를 셋업하고 있는 중 인근을 지나던 지역의 프랑스주민 두 사람이 미군 네명이서 탱크를 번쩍드는 모습을 목격하고 깜짝 놀라자 옆에서 이 모습을 스케치를 하고 있던 유령사단소속 병사가 이들에게  "미군들 힘 좀 쓰죠?" 했다는...

8/18/2013

설국열차 - 조심스런 기대

고국에선 이미 개봉이 되어 웬만한 사람들은 이미 다 봤을 영화.

고국에서의 흥행실적을 전해 듣고 또 한편으론 트레일러를 통해 익히 내용과 무게를 대충 짐작하고 있는 미국내 영화평론가들은 언제나 북미개봉을 하게 되냐고 난리들이다. 여기 평론가들은 할리웃영화가 아니면 일단 제껴 놓고 늘 싸한 평을 하곤 하는데 이번엔 많이 다르다. 예감이 좋다.

Picture source:
http://comicsbeat.com/snowpiercer-the-most-overlooked-comics-film-of-2013/
특히 판권을 가지고 있는 회사의 사주이며 " Harvey Scissorhands"라는 별명을(Johnny Depp이 주연한 Edward Scissorhands라는 영화를 기억하시는가 ㅎ ㅎ ㅎ) 가진 Harvey Weinstein이 총 126분 중 20여분을 자르는 작업을 할 계획이라는 뉴스에 평론가들이 떼로 분노하고 있는 분위기.

그러나 그 배경에는 이 영화를 좀 더 빠른 템포로 볼 수 있는 영화로 편집해서 일류 할리우드영화와 다름없이 미전국 모든 개봉관에서 동시개봉하는 것을 염두에 둔 포석이고, 더 나아가 Oscar(아카데미상)까지 노리겠다는 야심을 Weinstein이 품고 있는 것 같다는 이야기들을 이곳 평론가들이 하고 있어 그리 기분나쁜 이야기 만은 아니다.

(평론가들이 언급하지 않은 내가 짐작하는 진짜이유 하나는 그렇게 함으로써 하루 상영횟수를 한 번 정도 늘릴 수 있다는 것. 하루 대여섯 번 상영하는데, 매 회 20분정도 줄인다면 하루에 한 번 더 상영할 수 있는 두시간 정도가 확보되어 수입을 늘릴 수 있다는 계산이 있을거란 생각. 일반적으로 북미에서 개봉되는 화제작은 영화관에서 하루종일 돌리는 것도 모자라 주말심야상영까지 함으로 입장권매진으로 인해 발길을 돌리는 방청객들을 막으려 애쓴다. 말이 좀 되나? 흑)

한편으론 한국영화진흥위원회에서는 이 영화가 영어로 제작되어 있어 아카데미에 출품되는 외국어(한국어)영화로서는 이미 자동으로 자격조건을 벗어나 출품작에선 이미 배제되었다고 하니 봉감독에게는 할리우드영화들과 정면으로 맞서 싸워야 하는 배수진이 쳐진 상황일 듯.

외국에 나와 살다 보면 별것도 아닌 일에 울고 웃는 일들이 종종있다. 축구올림픽4강이 그랬고, 김연아때문에 가슴을 한껏 펴고 으쓱해 하기도 하고, 요즘같이 유현진선수와 추신수선수로 인해 밤을 새 목이 쉬도록 응원하는 낙으로 살기도 한다. 이 영화 '설국열차' 아니 'Snowpiercer'가 내년 3월에 있을 아카데미시상식에서 이국땅에서 약소민족으로 살아가는 우리가 콧구멍을 벌렁거릴 정도로 자랑스런 작품으로 소개됐으면 하는 조심스러운 기대를 해 본다.

아 증말 언제나 개봉이 되어 온 식구들을 데리고가서 볼 수 있을까나 하는 짜증이 조금씩 조금씩 올라온다는... 이번엔 온라인으로 올라오면 안보고 참았다가 표사서 흥행실적에 기여좀 해야겠다는 굳센 각오를 좀 알아주오, 봉감독.



참고링크

http://www.theatlanticwire.com/entertainment/2013/08/when-will-we-see-snowpiercer-us/68229/

http://variety.com/interstitial/?ref=http%3A%2F%2Fvariety.com%2F2013%2Ffilm%2Finternational%2Fsnowpiercer-triumphs-atop-korean-box-office-1200576876%2F

http://www.hitfix.com/in-contention/weinstein-gets-snippy-with-snowpiercer-but-lets-hold-our-fire


9/16/2012

Few thoughts

1. 역시 지나다(?) 우연히 마주친 영화에 많은 눈물을 뿌렸다. 리처드기어 동상(생)과 아키타견 한 마리가 주연을 한 Hatchi라는 영화. 80년대에 일본에서 영화가 만들어 졌다고 하고 내가 본 이 영화는 미국판 리메이크. 원래는 20년대에 일본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라고 하는데...

도쿄대 교수였던 우에노 히데사부로 박사에게 선물로 주어진 하치코라는 이 개는 주인 출근길엔 배웅을 하러 같이 철도역으로 가고, 퇴근시간엔 마중을 나가 앉았다가 주인과 같이 귀가하곤 하던 영특한 개 였는데, 같이 생활한 지 채 2년이 안되어 주인이 심장마비로 강의중 사망하게 되고 교수 가족이 그 지방을 떠나간 후 걸식을 하면서도 매일 퇴근시간만 되면 어김없이 같은 자리에 나타나 주인을 기다리는 생활을 거의 10년을 하다가 그 곳 에서 숨을 거두었다는...지금은 그 자리인 시부야역에 그 개의 충심을 기념한 동상이 세워져 아직도 주인을 기다리고 있단다. 트레일러는 http://www.youtube.com/watch?v=ppC_YYu64uQ 에.


2. 50년대에 매릴랜드주 볼티모어시에 있는 Johns Hopkins의대 연구소에서 있었던 C. Richter박사의 실험.

쥐가 기어오르지 못하도록 물이 담긴 목이 넓고 높은 유리관에 쥐를 두 그룹으로 갈라 첫번째 그룹은 물에 넣은 후 몇 초 간 꺼내었다 다시 물에 넣어 주는 걸 초반에 그저 몇 번 반복했고, 다른 그룹은 그냥 놔두었다 한다.

결과는... 그냥 놔 둔 그룹은 몇 분 만에 모두 익사했고, 초반 몇 번의 반복학습으로 곧 건져지리라는 기대/희망을 가지고 있던 첫번째 그룹의 쥐들은 3일을 계속 살아 있었다는 것.

소망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만들어 내는 큰 차이... 지금 나에게 가장 필요한 이야길 수도...


3. 첫째의 남자친구가 플로리다에서 올라와 우리 내외를 만나 인사를 드려야 하겠다고 해 며칠 전 집으로 오라고 해서 만나봤다. 아직까지는 그냥 친구라고 딸내미가 미리 귀뜸을 했기에 심각한 질문을 던진다던가 하는  '고문'은 못하고 그냥 소가 닭 쳐다보듯이 멀건 시사이야기만 해야 했다. 둘이 서로를 잘 알아가면서 관계를 건전하게 발전시켜나가길 빈다.

이럴 때 참 곤란한 것은...두 놈 다 앉혀놓고 '단정한 몸가짐...'하면서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이 올라 오다 목에 탁 걸리고 만다는 것. 제 아빠 엄마가 그러지 못했으면서 어찌 아이들에게 강요할 수 있겠는가...

7/11/2012

야고보의 길

얼마 전  우연히 접하게 된 영화, The Way

마틴쉰이 배낭을 맨 모습만 덩그러니 나와 있는 티저포스터에 지루하고 단순한 영화가 될 게 뻔해 그냥 지나려다 워낙 마틴쉰형님의 광팬이라 '봐 주기로' 함.

지겹게도 말 안듣고 사이가 좋지 않은 아들과 살며 외로운 노년을 보내고 있는 안과의사 톰은 어느 날 프랑스로 여행을 떠났던 아들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프랑스로 떠난다. 아들의 싸늘한 시신을 확인하고 들은 사연인 즉슨 아들이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까지 이어지는 Camino de Santiago라고(영어로는 The way of St. James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우리말로 '성 야고보의 길' 정도라면 될라나) 알려진 순례길을 가다 사망 했다는 것. 그리고 아들의 배낭을 인계받은 아버지는 아들의 시신을 화장하여 상자에 담고 800여 킬로미터, 30여일이 걸리는 순례의 길을 노년임에도 불구하고 무작정 나선다.

그 여정에서 만나는 다른 순례자들의 삶과 애환이 자신의 것과 교차되면서, 아들의 삶과 생각을 조금씩 이해하게 되고 결국에는 모두가 그 긴 여정을 마치게 되는 이야기. 순례자 대부분 원래의 결심과 목적했던 바를 성취하거나 마음속에 있던 나름의 무거운 짐을 내려 놓으면서...

영화를 마치고는 가슴이 먹먹해질 정도의 잔잔한 감동에 한참을 그냥 천정만 바라보고 앉아 있었다. 요즘 부쩍 말을 안듣기 시작한 아들녀석을 다시 생각해 보게도 되었고...

마틴쉰의 탈도 많고 말썽 많은 아들들 중 에밀리오 에스테베즈가 감독과 동시에 죽은 아들역을 맡아 마틴쉰형님께서 더 가슴에 와닿는 연기를 한 게 아닌가 싶다.

나도 나이가 더 들기 전 혼자 이 길을 걸어보고 싶다는 소망이 뭉글뭉글 올라오기 시작. 달포정도 잡고 말을 아끼면서 천천히 천천히... 길은 멀어도 격한 산행이 아니고 높낮이가 심하지 않은 길 이라니 다행이고 영화에서 본 그 풍광을 실제로 보게 된다고 생각하니 더욱 욕심이 난다. 남은 생애 동안 해 보자고 결심한 Bucket list 1호 되겠다.

source: http://www.thoughttavern.com/camino-de-santiago/

여정은 위의 지도에서 보듯이 오른쪽에 위치한 프랑스 여러 지점에서 시작할 수 있지만 중간쯤 스페인으로 넘어 와서는 그 모든 길이 만나게 되어 한 길로 가게 된다. 그 여정의 왼쪽 끝에 위치하고 열두 사도의 한 사람인 성 야고보의 유해가 매장되어 있는 스페인의 Santigo de Compostela 대성당에 들리는 것으로 대장정이 마무리 되는 사도 야고보(James)가 마지막으로 걸었던 순례의 길. 9세기 부터 기독교도이건 아니건(아닌 경우는 그저 자기성찰을 위해) 많은 순례자들이 걸어 왔단다.

11/04/2011

컴퍼니 맨

Source:
http://www.companymenmovie.com/
괜히 비한글권 네티즌들이 서치엔진을 통해 찾아 들어와서 낚시질에 걸렸다고 욕이나 한 바가지 하고 갈게 뻔하기에 "The Company Men"이라고 제목을 안 붙이고 한글로 적었다.

한국에도 영화를 다루는 많은 온라인서비스가 있겠지만 북미주에도 여러가지 회사가 있다. 그중 Netflix에 가입해 온라인으로 영화도 가끔 보고 DVD로도 배달을 받아 보곤하는데 어제 배달받아 본 이 영화. 많은 공감이 가는 영화였기에 적어본다.

어떤 영화인지도 잘 모르고 받았는데 막상 시작해 보니 내가 좋아하는 형님들(Tommy Lee JonesChris Cooper, Kevin Costner)과 아그(Ben Affleck)가 무슨 종합선물세트처럼 총출동한 영화다. 내용은 제법 잘 나가는 자리에 있는 세 남자가 회사의 급작스런 구조조정의 결과로 직장을 잃고 차가운 현실과 마주하게 되는 이야기.

뭐 그다지 새로운 소재도 아니고 우리네 삶에 늘 있어왔던 평범한 이야긴데...예전에는 거들떠 보지도 않았을 형편없는 일자리에 대한 취업의 문을 두드리며 좌절을 거듭하는 세 가장의 모습들, 집을 내놓고, 차를 팔고, 일체의 외식을 끊고, 당연하게 받던 각종서비스를 취소하는 등의 결단을 하는 아내들의 비장한 모습, 같이 힘들어 하는 자녀들의 모습에 갑자기 눈물이 주루룩 흐르며 가슴이 먹먹해 졌다.

지금도 완전히 벗어난 상태는 아니지만 불과 몇달 전 우리 내외의 모습이 아니던가...영화를 좀체 같이 볼 시간이 없는 아내도 부엌에서 설거지를 하면서 그 모습들에 눈을 떼지 못하고 그 주인공들과 같이 안타까와 하더라는.

우리 경우는 실직이 아니고, 아내가 운영하던 Dollar store가 일반경제의 악화로 매상이 형편없이 주는 바람에 내가 밤에 파트타임직장을 구해서 일을 하고 아내는 아내대로 일체의 집관련 지출을 굶어죽지 않을 정도 수준으로 끌어 내리는 수술을 감행했었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이, 추구하던 돈과 지위 외에 배우자와 가족이 얼마나 중요하단 걸 차츰 깨달아 가듯이, 우리 내외도 서로를 더 이해하고 인내하고 의지하는 걸 배울 수 있었던 귀중한 기회였던것 같다. 물론 그 시간들이 견딜수 없이 힘들긴 했지만.

엔딩이 우리 내외의 마음을 가볍게 해 줬다. 그럼에도 우린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7/31/2009

내 머리속의 지우개

제목이 "내 머리속의 지우개"였는데 알츠하이머로 기억을 상실해 가는 아내와 그것을 품고가려는 남편의 사랑을 그린 가슴에 와닿는 영화였다. 스토리가 좋아 미국영화계에서 리메이크를 한다고 들었는데, 얼마전에 본 "50 First Dates"가 그 영화가 아닌가 싶다. Adam Sandler와 Drew Barrymore가 나오는 영화였는데,여자가 그 다음날이면 기억이 없어져서 남자는 하루 지나면 "안녕하세요? 처음 뵈어 반갑습니다!"로 처음부터 다시 교제를 시작해야 하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안타까운 마음이 들게 하는 내용이었다.

몇 주전, 직장에서 퇴근을 하고 가게로 운전해 가던 중 이런 경험을 했다. 출발을 해서 약 2/3 되는 지점에 다다랐을까? 갑자기 잠들었던 사람이 깨듯 정신이 들었는데 도무지 거기가 어딘지, 어떻게 그 지점을 운전해 지나고 있는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전혀 알 수가 없었다. 15마일 거리를 10여분 간 운전한 건데 기억이 전혀 없어 난감했다. 굉장히 통행이 많고 차들이 70마일(113Km) 이상으로 빨리 달리는 95번 하이웨이였는데.

어제 큰 아이하고 할아버지의 건강에 대해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던 중 그 일이 생각나 얘기해 줬더니 깜작놀라며 지엄마가 꼭 알아야 한다고 한다. 별 것 아닌 것 가지고 놀래키기 싫어 아내에게 아직 얘기는 안했는데...